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좋은돌봄

우리 센터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가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과 고충에 귀기울이겠습니다.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돌봄동향

> 사업안내 > 돌봄동향


[국민일보] (2014.5.14) 비상계단 곳곳에 장애물·비상벨은 손 안 닿는 곳에… 요양시설 안전관리 ‘요령’ 만 있었다

돌봄희망터 2014-05-14 09:39:25 조회수 2,893
비상계단 곳곳에 장애물·비상벨은 손 안 닿는 곳에…
 
요양시설 안전관리 ‘요령’ 만 있었다
 
 
 
140513_1_002.jpg
 
 
 서울 은평구의 한 노인요양시설에는 비상벨이 노인들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달려 있었다. 요양보호사들도 손을 한껏 뻗어야 누를 수 있을 정도였다. 이 시설 원장은 “어르신들이 자꾸 벨을 눌러서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비상벨을 설치했다”며 “요양보호사가 수시로 점검하고 있어 괜찮다”고 말했다.

서울 영등포구의 상가건물 4층에 있는 노인요양시설은 비상통로가 제대로 확보돼 있지 않았다. 화재 시 탈출로인 비상계단을 따라 1층으로 내려가는 길은 곳곳에 장애물 투성이였다.

커다란 에어컨 실외기를 지나면 겹겹이 쌓여 있는 상자들이 가로막았다. 이 비상계단은 시설 입주 노인 17명이 위급 상황에 이용해야 하지만 건장한 성인 남성이 지나기도 쉽지 않다. 보행 보조기 없이는 평지도 걷기 힘든 노인들이 이 계단을 통해 빠르게 건물을 벗어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시설 노인들이 화재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된 셈이다.

국민일보 취재팀이 11∼13일 둘러본 요양시설 중에는 재난대응 매뉴얼을 보여달라는 요구에 ‘직원 비상연락망’을 내놓은 곳도 있었다.

한 요양시설 관계자는 “불이 나는 게 가장 큰 문제인데 혼자서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을 어떻게 대피시킬지 걱정스러운 게 사실”이라면서도 “대피훈련을 충분히 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 장애인 등 ‘재해 약자’가 주로 거주하는 요양시설의
안전관리가 이처럼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전국 3664개 장기요양기관의 안전관리 실태를 평가한 결과 3곳 중 1곳(36.6%)의 재난 상황 대응 수준이 ‘보통 이하’였다.

소규모 시설일수록 안전관리에 취약한데 입소자가 10명 미만인 시설이 전체 요양시설 중 46.2%나 차지하고 있다. 10인 미만 요양시설 1584곳 가운데 40.9%(647곳)는 산소통, 산소마스크 등 응급 의료기기를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았다. 상가 고층에 있는 시설 중에는 화재 시 지상으로 대피할 때 사용하는 미끄럼틀 모양의 구조대가 잡다한 집기에 파묻혀 찾기 힘든 곳도 있었다.

전문가들도 요양시설의 안전 문제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30년 경력의 한 소방 전문가는 “요양시설이 상가건물 등에 입주해 있는 경우 요양시설로 지어진 건물이 아니다 보니 안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3층 이상일 때는 어떻게 대피시켜야 할지 항상 걱정”이라고 말했다. 인허가 단계부터 재난 대응이 가능한 곳인지 철저히 검증하고 그렇지 않다면 시설 개소를 못하도록 안전 규제만큼은 까다롭게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요양시설의 재난대응 훈련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많다. 문종욱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이사는 “시설별로 안전수칙은 마련돼 있지만 실전용 응급대피 훈련은 전무한 실정”이라며 “훈련을 하더라도 형식적인 수준에서 끝내는 경우가 많은 게 문제”라고 말했다. 정영진 강원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서류상의 검사로만 끝내지 말고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